본문 바로가기

이우영8

피스레터 37호 (통권 39호) [한반도 이슈]이우영ㅣ 남과 북, 무엇부터 시작할까? [글로벌 리포트] 미니 ㅣ팔레스타인, 전쟁과 어린이 [평화의 시선으로 보는 북녘]이경수 ㅣ 북녘 학교생활 이야기 [한반도 평화교육] 이향숙 ㅣ 4.16 추모 문화제 4월의 노래[문학으로 읽는 나의 평화감수성] 김경민 ㅣ 공순이와 맘충이 아닌 송효순과 김지영으로... 2024. 8. 19.
피스레터 No39_1 이우영_남과 북, 무엇부터 시작할까? [한반도 이슈] 남과 북, 무엇부터 시작할까?이우영(어린이어깨동무 이사)   파리 올림픽이 열리면서 다양한 운동 종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메달 수에 목을 맸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선수들의 노력 그리고 기쁨과 아쉬움을 같이 하면서 훨씬 여유롭게 올림픽을 즐기는 것 같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남북 단일팀의 기억들과 공동입장, 공동응원의 추억들이 답답한 남북관계 현실에 겹쳐 지면서 착잡한 심정도 지울 수가 없다. 적대적 두 국가 평창 올림픽을 계기로 평화의 희망을 부풀게 했던 남북관계는 2019년 북한과 미국의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이후 지속적으로 나빠져 왔다. 심지어 최근 북한의 최고지도자인 김정은 총비서가 남북관계를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였다. 이는 분단 이후 남북이 모두 통일을 최.. 2024. 8. 19.
피스레터 No25_1 이우영_북한의 8차 당대회 이후 정부와 민간이 고민할 것들 [한반도 이슈] 북한의 8차 당대회 이후 정부와 민간이 고민할 것들 이우영(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어린이어깨동무 이사) 북한은 2021년 1월 5일부터 1월 12일까지 조선로동당 8차 당대회를 개최하였다. 2016년 7차 당대회 이후 5년만의 일이다. 당대회는 조선로동당의 최고 지도기관으로 당 대회에서 당 강령과 규약을 채택, 수정, 보완하며, 당 노선과 정책 및 전략, 전술의 기본 문제를 결정하고 당중앙위원회 및 당중앙 감사위원회의 선거도 실시한다. 해마다 발표되어 북한의 한해를 전망할 수 있는 신년사가 생략된 올해의 경우는 연초에 개최된 8차 당대회에서 이루어진 논의 내용이 앞으로 북한의 정책이나 입장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바탕이 될 수밖에 없다. 경제정책을 비롯한 내부문제에 집중한 8차 당 대.. 2021. 3. 12.
2017 심포지엄 #1. 평화교육은 우리를 바꿀 것인가 #. 2017년 11월 15일 오전 10시 분주한 마음으로 도착한 창비50주년홀. 분명히 일주일전에 평화교육 심포지엄 '평화교육은 우리를 바꿀 것인가' 준비를 위한 모든 체크를 마쳤으나.. 준비하는 손길이 바쁘기만 한 그 때! 올해 초, 아일랜드에서 만났던 콜린 크랙과 이본 네일러가 도착했다. 기자 간담회를 위해 행사시간보다 한참 먼저 도착은 두 명은 긴~ 비행의 여독이 여전히 풀리지 않은듯 피곤해보였으나 특유의 밝은 표정과 미소로 반가움을 표시했다. 커피 한 모금의 여유도 잊은 채 열정적으로 기자 간담회에 임하는 먼 길 오신 손님들의 이야기는 아래 링크를 따라가면 자세히 만나실 수 있습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religious/819269.html #. 한반.. 2017. 12. 15.
[자료집] 2017 평화교육은 우리를 바꿀 것인가 -폭풍 이후의 잔잔함 : 분쟁 이후 평화구축의 과제 (콜린 크랙)-북아일랜드의 평화교육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강순원)-평화교육과 좋은 관계 맺기 : 인형극을 활용한 사례 연구 (이본 네일러)-평화지향적 통일교육 콘텐츠 개발 (양은석)-피구놀이에서 배우는 평화 (최관의) 2017. 12. 14.
[자료집] 2016 한반도 평화교육의 길을 찾다 어린이어깨동무 평화교육센터 개원 기념 심포지엄 ‘한반도 평화교육의 길을 찾다’ - 평화시민교육의 필요성과 새로운 시도 (정용민)-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평화통일을 위한 어깨동무의 길 찾기 (정영철) 2017. 12. 14.
피스레터 합본호(통권1호-7호) 평화를 보는 새로운 시선 합본호가 발간되었습니다. 2016년 7월 창간 시기부터 2017년 6월까지 발간한 통권1호~통권7호의 내용을 묶어 발간한 이번 합본호를 통해, 깊이 있는내용과 쉬운 글로 많은 독자들로부터 사랑받은 글을 주제와 필자별로 보다 쉽게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합본호의 용량이 커서 분할하여 업로드 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2017. 8. 1.
피스레터 No6_1 이우영_새로운 시대의 평화 이야기 : 경계를 넘어서는 공존을 위하여 [이슈] 새로운 시대의 평화 이야기 : 경계를 넘어서는 공존을 위하여 이우영(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늘 평화로운 삶을 이야기하지만 문자 그대로 ‘낙원’에서나 가능한지 우리의 일상은 대부분 평화롭지 않습니다. 더구나 지난 연말부터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문제로 사회적 갈등이 반복되어 매일 매일이 평화롭지 못했습니다. 남한 사회가 어수선 했을 뿐 아니라 얼어붙은 남북관계는 풀릴 기미조차 안보이고, 북한이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반복하면서 남북한 사이에 긴장의 수준만 높아졌습니다. 내가 뽑았던 아니던 우리 대통령이 그 자리를 잃었고, 우리 젊은이들은 일자리를 구하느라 즐거움을 잊고 있으며, 수백만이 목숨을 잃었음에도 전쟁의 공포는 여전하고, 피부 빛깔과 믿음이 다른 사람들은 서로를 증오하고 있습니다. 내 자.. 2017.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