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스레터(PDF)42

피스레터 39호 (통권 41호) [한반도 이슈]정영철ㅣ 오로지 민주와 평화의 연대만이 문제를 풀 수 있다 [한반도 평화교육] 채창수ㅣ남북의 ‘관계’ 어떻게 가르칠까? [글로벌 리포트] 정지영 ㅣ 독일의 ‘기억 문화’가 주는 교훈 [문학으로 읽는 나의 평화감수성] 김경민 ㅣ 이 미친 세상에 어디에 있더라도 행복해야 해 [나중 아니고 지금]이재정 ㅣ ‘빛과 바람의 혁명’ 광장이 일깨운 민주주의 [사람 사는 이야기, 연극]남동훈 ㅣ 평범한 동네주민들의 연극 도전기 Ⅳ '산토끼'를 향하여 2025. 2. 19.
피스레터 38호 (통권 40호) [한반도 이슈]김동진ㅣ 한반도 평화구축 : 한 국가, 두 국가, 그 사이를 넘어  [한반도 평화교육] 채창수ㅣ‘뉴라이트 역사 논쟁’을 교실 수업에서 다루기 [글로벌 리포트] 정지영 ㅣ 떠올림, 먹먹, 울컥, 다짐  [문학으로 읽는 나의 평화감수성] 김경민 ㅣ 자신의 삶을 장례식으로 만든 작가에게 바치는 헌사 [살아가는 이야기]이서현 ㅣ 모든 것에 얽힌 모든 것  [사람 사는 이야기, 연극]남동훈 ㅣ 평범한 동네주민들의 연극 도전기 Ⅲ 2024. 11. 19.
피스레터 37호 (통권 39호) [한반도 이슈]이우영ㅣ 남과 북, 무엇부터 시작할까? [글로벌 리포트] 미니 ㅣ팔레스타인, 전쟁과 어린이 [평화의 시선으로 보는 북녘]이경수 ㅣ 북녘 학교생활 이야기 [한반도 평화교육] 이향숙 ㅣ 4.16 추모 문화제 4월의 노래[문학으로 읽는 나의 평화감수성] 김경민 ㅣ 공순이와 맘충이 아닌 송효순과 김지영으로... 2024. 8. 19.
피스레터 36호 (통권 38호) [한반도 이슈]김성경ㅣ 22대 총선과 한반도 평화 [한반도 평화교육] 채창수 ㅣ 한반도 평화를 위한 역사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평화의 시선으로 보는 북녘]이경수 ㅣ 북녘 노동자 이야기[문학으로 읽는 나의 평화감수성] 김경민 ㅣ 몽실이, 쿠르디 그리고 가자...[좌충우돌 교실 이야기] 최연진 ㅣ씨앗, 하나의 풀에 여러 개의 꽃이 있고 - 두 번째 이야기 2024. 5. 14.
피스레터 35호 (통권 37호) [한반도 이슈] 정영철ㅣ 위기의 평화, 희망의 평화 [글로벌 리포트] 카테리나 안토니우 ㅣ 평화구축 관광의 정치적 효과 [한반도 평화교육] 김지혜 ㅣ 평화를 만들어낸 이야기, 사람 [평화의 시선으로 보는 북녘] 이경수 ㅣ 북녘 농민 이야기 [문학으로 읽는 나의 평화감수성] 김경민 ㅣ 잃어버린 서울의 봄을 찾습니다 [좌충우돌 교실 이야기] 최연진 ㅣ씨앗, 하나의 풀에 여러 개의 꽃이 있고 - 첫 번째 이야기 2024. 2. 19.
피스레터 34호 (통권 36호) [한반도 이슈] 강영식ㅣ 민간 남북협력사업의 현 주소와 나아갈 방향 [평화 이슈] 이정필 ㅣ 기후정의 활동은 평화운동이다 [평화의 시선으로 보는 북녘] 이경수 ㅣ 북녘 농촌 마을의 변화 [문학으로 읽는 나의 평화감수성] 김경민 ㅣ 분단된 대한민국에 출몰하는 좀비 [좌충우돌 교실 이야기] 최관의 ㅣ관샘의 뻘짓 그리고 마무리 2023. 11. 17.
피스레터 33호 (통권 35호) [한반도 이슈] 김성경 ㅣ 전쟁을 살아가는 것 [평화 이슈] 이충식 ㅣ 후쿠시마 오염수와 우리의 선택 [평화의 시선으로 보는 북녘] 이경수 ㅣ 북한 식량위기를 둘러싼 두 가지 맥락 [문학으로 읽는 나의 평화감수성] 김경민 ㅣ 부끄러운 과거와 마주할 용기 [한반도 평화교육 1] 심은보・최관의ㅣ 서이초 박선생님을 추모하며 [한반도 평화교육 2] 주예지 ㅣ 틈 사이로 보는 건너편 세상 [좌충우돌 교실 이야기] 최관의 ㅣ아이들이 기획하고 엮어가는 공연 2023. 8. 17.
피스레터 32호 (통권 34호) [한반도 이슈] 김영환 ㅣ '사죄'에 대하여 [평화 이슈] 이주영 ㅣ 어린이 해방 선언 100주년의 의미와 오늘의 과제 [문학으로 읽는 나의 평화감수성] 김경민 ㅣ 나도 5・18 피해자입니다 [여우굴에서 온 편지] 데이빗 벤바우 ㅣ 이 밤이 끝나기는 할까? [한반도 평화교육] 박종호 ㅣ 세 번째 코리밀라 방문, 사과나무 두 그루 [좌충우돌 교실 이야기] 최관의 ㅣ우리는 껌부 사이 2023. 5. 18.
피스레터 31호 (통권 33호) [한반도 이슈] 이기범 ㅣ 절망에서 평화의 희망을 빚어내는 대화 [한반도 평화교육] 심은보 ㅣ 코리밀라에서 함께 한 Nurturing Hope Summer School [기억과 평화] 역사를 통한 평화 만들기 ㅣ 강화 평화마을 이야기 [여우굴에서 온 편지] 데이빗 벤바우 ㅣ 방탄조끼 [좌충우돌 교실 이야기] 최관의 ㅣ철민이와 노마 주예지 ㅣ안녕, 친구야! 2023. 5. 18.
피스레터 30호 (통권 32호) [한반도 이슈] 정영철 ㅣ 짙어지는 위기, 다시 평화 [음식의 눈으로 읽는 북녘] 김양희 ㅣ 인민들에게 맛있는 외국음식을 공급하라 [여우굴에서 온 편지] 데이빗 벤바우 ㅣ DMZ 여름밤의 기억 [기억과 평화] 임재근 ㅣ 볕으로 나온 뼈들이 말을 한다 [좌충우돌 교실 이야기] 최관의 ㅣ원반 놀이 모둠 짜는 건 너무 어려워! 주예지 ㅣ포근한 스웨터. 곶감. 살랑살랑 [살아가는 이야기] 김지혜 ㅣ 마음껏 슬퍼하고 울어도 된다 2022. 11. 18.
피스레터 29호 (통권 31호) [한반도 이슈] 김영환 ㅣ 한일관계의 파탄, 수백조 원의 비즈니스 기회, 그리고 ‘99엔’ [음식의 눈으로 읽는 북녘] 김양희 ㅣ 북한이 민족음식을 강조하는 이유는? [여우굴에서 온 편지] 데이빗 벤바우 ㅣ 친애하는 한국의 친구분들께 [기억과 평화] 임재근 ㅣ 국민을 믿지 못한 정권, 국민을 죽인 정권 [좌충우돌 교실 이야기] 김지혜 ㅣ만나고 돌아보고 부끄럽게 다시 만나고 주예지 ㅣ마라탕 맛 평화 2022. 8. 18.
피스레터 28호 (통권 30호) [한반도 이슈] 정영철 ㅣ 다시 평화를 향한 신발끈을 조여매고 [한반도 평화교육] 심은보 ㅣ 삶을 위한 교육이 되길 바라며 [평화의 눈으로 읽는 북녘] 김양희 ㅣ 새 정부는 북한의 배고픈 아이들에게 정치를 말할까? [기억과 평화] 임재근 ㅣ 산내 골령골과 여순항쟁 [좌충우돌 교실 이야기] 김지혜 ㅣ어린이들과 체험한 무한경쟁의 잘한당 주예지 ㅣ너도 나래? 나도 나래! 2022.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