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스레터(PDF)42

피스레터 15호(통권17호) 정영철 | 평화로 한 걸음 더 : 평화를 위한 모두의 어깨동무! 박종호 | 평화는 만남과 용기, 두려움을 감소시키는 행동 정진헌 | 평화의 북소리를 그리며 김영환 | 역사의 길에서 평화를 찾다 박정배 | 명태 주예지 | 다정한 작별 2019. 2. 19.
피스레터 14호(통권16호) 주희영 | 내게 단비가 되어준 평화교육 워크숍 조성렬 |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과속은 없다 송강호 | 평화를 가르치는 꿈 정진헌 | 우리 모두 "어깨동무"할 것입니다 김소울 | 평생에 걸쳐 반전화를 그린 화가_베레시차긴 주예지 | 미운 놈 떡 하나 더 주기 2018. 12. 19.
피스레터 13호(통권15호) 이기범 | 다시 백두산에서 평화를 맞이하다 임수연 | 오늘의 청소년, 내일의 한반도 평화를 상상하다 전현준 | 평양정상회담 이후 한반도의 평화 송강호 | 그란샤크 학교 이야기 정진헌 | 2018년, 1968년의 독일을 생각하며... 김소울 | 위태로운 유럽의 평화를 풍자하다. 오노레 도미에 주예지 | 너의 눈, 코, 입 2018. 10. 18.
피스레터 12호(통권14호) 박종호 | '적군묘지' 앞에서 생각하는 평화 정욱식 | 한반도 평화체제와 군축 송강호 | 검은 바다 정진헌 | 안녕, 친구야! 김소울 | 끔찍한 현실을 추상적으로, 파울 클레 심은보 | 빈틈을 잘 살피는 세심함이 필요하다 2018. 8. 19.
피스레터 11호(통권13호) 윤철기 | 한반도 평화의 봄, 시민사회는 무엇을 할 것인가 장용훈 | 2018년, 평화의 시대를 맞는 한반도의 오늘과 내일 송강호 | 아이티 대지진 현장에서 김소울 | 신념을 위한 암살, 그리고 전쟁의 시작 원마루 | 비무장지대에 봄이 오면 심은보 | 결국은 살아가야 한다는 것 2018. 6. 19.
피스레터 10호(통권12호) 은종복 | 어떻게 해야 남북이 평화롭게 하나가 될까 정창현 | 한반도에 평화가 찾아오고 있다 송강호 | 로힝야 난민촌에서 묻는다. "평화가 무엇인가?" 김소울 | 노예제도, 인간이 인간에게 빼앗은 인권 원마루 | 우분투, 당신이 있기에 내가 있다 심은보 | '1빠 선생' 이야기 2018. 4. 19.
피스레터 9호(통권11호) 정영철 | 평화를 위한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 송강호 | 비무장 평화의 섬 제주를 꿈꾼다 송태효 | 어린 왕자와 영화인들 김소울 | 아메리카 대륙, 승자만을 위한 자유의 나라 원마루 | 영국에서 아리랑을 불러봅니다 심은보 | 좌충우돌 민이 녀석 이야기 2018. 2. 19.
피스레터 8호(통권10호) 이본 네일러 | 내 잔이 넘치나이다정영철 | ​ 하늘길, 바닷길, 땅길 열어 평화로! 통일로! : 우리는 꿈꿀 수 있어야 한다송태효 | 어린 왕자의 미술세계 ​김소울 | 아픔의 역사를 그림에 담은 스페인 화가-고야 ​원마루 | 아이 한 명을 구하는 것은 세상을 구하는 것입니다 ​심은보 | 학교는 무엇을 이야기해야 할까 2017. 12. 20.
피스레터 7호(통권9호) ● 여전한 먹구름 | 김명준 ● 휴전선을 밟고: 제2차 남북정상회담 | 정영철 ● 어린 왕자가 전하는 길들임의 구도 여행기 | 송태효 ● 나폴레옹 전쟁이 남긴 유산 | 김소울 ● 평화를 위해 촛불을 밝힙니다 | 원마루 ● 통통이 이야기 | 심은보 2017. 10. 30.
피스레터 6호(통권8호) ● 2017년 여름 평화의 편지: 증오의 다리를 건너면 무엇을 만날까 |이산(이이화)● 서울과 평양의 환호, 세계의 부러움: 2000년 정상회담|정영철 ● 어린 왕자가 전하는 평화 연대의 메시지|송태효● 낭만주의 평화와 반전의 기록자: 들라크루아|김소울● 잘 지내세요, 돌고래, 오솔길님?|원마루● 나 그리고 친구|이영근 2017. 8. 1.
피스레터 합본호(통권1호-7호) 평화를 보는 새로운 시선 합본호가 발간되었습니다. 2016년 7월 창간 시기부터 2017년 6월까지 발간한 통권1호~통권7호의 내용을 묶어 발간한 이번 합본호를 통해, 깊이 있는내용과 쉬운 글로 많은 독자들로부터 사랑받은 글을 주제와 필자별로 보다 쉽게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합본호의 용량이 커서 분할하여 업로드 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2017. 8. 1.
피스레터 5호(통권7호) ● 남과 북의 ‘사랑과 전쟁’|황윤옥 ● 20세기 마지막 전위 예술: 1,001마리의 소떼가 휴전선을 넘다|정영철 ● 겸애(兼愛)를 주장한 세계시민주의자 묵자 : 무엇이 묵자(墨子)를 전쟁에 뛰어들게 하였는가?|정경화 ● 평화주의자에게 바친 『어린 왕자』|송태효 ● 자유를 향한 물결-프랑스 혁명|김소울 ● 아일랜드에서 바라보는 한반도 평화 2|김동진 ● 글로 끝까지 싸우기|이영근 2017.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