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3

피스레터 No38_4 김경민_몽실이, 쿠르디 그리고 가자... [문학으로 읽는 나의 평화감수성] 몽실이, 쿠르디 그리고 가자…  김경민  남과 북으로 나뉘어 서로에게 총부리를 겨누었던 한국전쟁의 비극을, 국군으로 전쟁에 참가했지만 결국 돌아오지 못한 아들의 죽음에 슬퍼하는 외할머니와 그런 외할머니가 저주를 퍼붓는 빨치산을 아들로 둔 친할머니 사이의 갈등으로 표현한 윤흥길의 「장마」는 한국전쟁의 특수성을 상징적으로 재현한 소설이다. 이 소설에서 두 할머니로 상징되는 우리 민족의 대립과 그로 인한 긴장감을 독자에게 전하는 역할을 하는 인물은 동만이라는 어린아이다. 같은 민족끼리의 전쟁이라는 비극성과 폭력성이, 그것들과는 가장 상반될 것 같은 이미지인 어린아이의 눈을 통해 재현되고 있어 전쟁의 잔인함은 더 극대화되어 독자에게 전해진다. 우리 집이 항상 감시를 받고 있다는.. 2024. 5. 14.
피스레터 No36_4 김경민_분단된 대한민국에 출몰하는 좀비 [문학으로 읽는 나의 평화감수성] 분단된 대한민국에 출몰하는 좀비 김경민 K-좀비의 원조, 빨갱이 “홍범도 장군 흉상은 육사의 정체성과 독립투사로서의 예우를 동시에 고려해 육사 외 독립운동 업적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적절한 장소로 이 전한다.” 하루가 멀다 하고 황당한 뉴스가 밀려들어 어지간한 뉴스에는 놀라지도 않는 요즘이지만, 이 뉴스를 듣는 순간만큼은 귀를 의심할 수밖에 없었다.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는 역사 시간 내내 졸았던 학생들조차 다 아는 것인데, 이 상식 밖의 결정을 내린 이들은 설마 이 사건들을 몰랐던 것일까, 아니면 이들은 왜 갑자기 홍범도 장군을 소환해 많은 사람을 당황하게 만든 것일까. 이유는 간단했다. 바로 그가 ‘빨갱이’였기 때문이다. 휴전선 너머의 사람들 또는 그들의 정치체제.. 2023. 11. 17.
피스레터 No35_4 김경민_부끄러운 과거와 마주할 용기 [문학으로 읽는 나의 평화감수성] 부끄러운 과거와 마주할 용기 김경민 카운트다운이 시작되었다 몇 해 전 일본군 ‘위안부’에 관한 글을 쓸 당시만 해도 생존자는 21명이었다. 잠시 잊고 지내다 이 글을 쓰기 위해 오랜만에 다시 찾아보니 이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는 단 9명뿐이라고 한다. 지난 5월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한 분이 별세하면서, 생존자 숫자는 이제 한 자리가 되었다. 10, 9, 8, 7… 마치 시한폭탄에 장착된 타이머의 숫자가 줄어드는 것을 보는 듯하다. 이렇게 생존자 한 분, 한 분이 세상을 떠나시고 마침내 마지막 한 분만 남게 된 상황을 마주했을 때, 과연 어떤 기분일까? “한 명밖에 남지 않았다고 했다. 둘이었는데 간밤 한 명이 세상을 떠나.” 김숨의 소.. 2023. 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