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26 피스레터 No8_3 송태효_어린 왕자가 전하는 평화 연대의 메시지 [시선 | 세상과 만나는 인문학] 어린 왕자가 전하는 평화 연대의 메시지 송태효 경험상 우리는 사랑한다는 것이 우리 서로를 바라보는 것이 아니고, 함께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임을 잘 알고 있다.생텍쥐페리, 『사람들의 땅』 생텍쥐페리는 1935년 『파리 수아르(Paris Soir)』지 리포터로 모스크바를 취재하고, 에어프랑스 후원으로 구입한 자가용 비행기 시문(Simoun)을 타고 지중해 연안을 탐사하였다. 그해 12월 30일 파리-사이공 비행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자신의 시문을 타고 이집트로 향하던 생텍쥐페리는 현지 시각 4시 45분 카이로에서 200㎞ 지점, 리비아 사막에 불시착하여 사경을 헤매다 닷새 만에 베두인족에게 구조되었다. 그 처절한 기아와 갈증의 고통, 고독과의 사투 그리고 자신을 구해준 이.. 2017. 8. 1. 피스레터 No8_2 정영철_서울과 평양의 환호, 세계의 부러움: 2000년 정상회담 [시선 | 평화적 시각에서 재해석한 남북관계사] 서울과 평양의 환호, 세계의 부러움: 2000년 정상회담 정영철 한 사람은 비행기 트랩 위에서, 또 한 사람은 트랩 아래에서 서로를 마주하며 박수를 치고 있었다. 곧 두 사람은 트랩 아래에서 두 손을 꼬-옥 잡았다. 서로 환하게 웃는 모습으로. 2000년 6월 13일 오전 10시 37분, 역사의 한 장면은 이런 모습이었다. 그로부터 벌써 17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이제는 희미해진 기억이 되었지만, 바로 그날 2000년 6월 13일은 한반도 분단사에 ‘새로운 역사’가 쓰인 날이었다. 대한민국 대통령 김대중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장 김정일의 역사적인 첫 만남이 이루어진 날이었다. 그동안 전쟁과 적대, 갈등, 그리고 서로에 대한 소멸을 주장했던 남북의 .. 2017. 8. 1. 피스레터 No8_1 이산(이이화)_2017년 여름 평화의 편지: 증오의 다리를 건너면 무엇을 만날까 [이슈] 2017년 여름 평화의 편지: 증오의 다리를 건너면 무엇을 만날까 이산(이이화) 연구공간 파랗게날 대표연구원 8월, 우리 현대사를 회고하는 것은 깊은 상심을 동반한다. 극악한 35년 일제 식민통치로부터 벗어났으나 잘못 낀 첫 단추는 대가가 처참하다. 반민족 과거 청산에 실패하고 단일 민족정부 수립에 실패한 과오는 두 세대가 흘렀어도 현존 문제로 불쑥불쑥 튀어나온다. 빼앗긴 나라에서 시달리던 민족혼이 되찾은 나라에서도 부대끼는 이런 이율배반이 어디서 오는가? 하얼삔역의 총탄이자 아오내장터의 태극기이듯 그릇된 흐름에 맞서는 불굴의 혼마저 죽은 것은 아니어서 1960년 4.19혁명, 1980년 ‘서울의 봄’, 1987년 ‘6월 항쟁’으로 생명력은 분출했으나, 이내 5.16 군사정변, 5.18 광주학살.. 2017. 8. 1. 피스레터 6호(통권8호) ● 2017년 여름 평화의 편지: 증오의 다리를 건너면 무엇을 만날까 |이산(이이화)● 서울과 평양의 환호, 세계의 부러움: 2000년 정상회담|정영철 ● 어린 왕자가 전하는 평화 연대의 메시지|송태효● 낭만주의 평화와 반전의 기록자: 들라크루아|김소울● 잘 지내세요, 돌고래, 오솔길님?|원마루● 나 그리고 친구|이영근 2017. 8. 1. 피스레터 합본호(통권1호-7호) 평화를 보는 새로운 시선 합본호가 발간되었습니다. 2016년 7월 창간 시기부터 2017년 6월까지 발간한 통권1호~통권7호의 내용을 묶어 발간한 이번 합본호를 통해, 깊이 있는내용과 쉬운 글로 많은 독자들로부터 사랑받은 글을 주제와 필자별로 보다 쉽게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합본호의 용량이 커서 분할하여 업로드 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2017. 8. 1. 피스레터 5호(통권7호) ● 남과 북의 ‘사랑과 전쟁’|황윤옥 ● 20세기 마지막 전위 예술: 1,001마리의 소떼가 휴전선을 넘다|정영철 ● 겸애(兼愛)를 주장한 세계시민주의자 묵자 : 무엇이 묵자(墨子)를 전쟁에 뛰어들게 하였는가?|정경화 ● 평화주의자에게 바친 『어린 왕자』|송태효 ● 자유를 향한 물결-프랑스 혁명|김소울 ● 아일랜드에서 바라보는 한반도 평화 2|김동진 ● 글로 끝까지 싸우기|이영근 2017. 7. 26. 피스레터 4호(통권6호) ● 새로운 시대의 평화 이야기: 경계를 넘어서는 공존을 위하여|이우영 ● 이산의 아픔, 분단의 비극|정영철 ● 전쟁에 반대한 르네상스 화가, 자크 칼로|김소울 ● 아일랜드에서 바라보는 한반도 평화 1|김동진 ● 7:93|이영근 ● 남북 관계를 있는 그대로 배우는 다른 창(窓) 만들기|강주원 2017. 7. 26. 피스레터 3호(통권5호) ● 2017년, 한국사회와 어린이 평화|이주영 ● 구국의 이름으로 : 유신의 광풍과 반공의 나라 만들기|정영철 ● 미래에서 온 비폭력 저항의 화신, 간디|정경화 ● 화해의 딜레마|김동진 ● 아이 정강이를 걷어찬 나|최관의 ● 2017년 남북관계를 위해서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강주원 2017. 7. 26. 피스레터 2호(통권4호) ● 공동육아가 시국선언을 했다|이경란 ● 남과 북, 처음으로 마주하다 : 7.4 남북공동성명|정영철 ● 제국주의에 맞서 싸운 평화주의자 안중근|정경화 ● 누가 평화를 만드는가?|김동진 ● 놀고 삐지고 놀고|최관의 ● 2016년 남북 만남의 그림은 미래일까?|강주원 2017. 7. 26. 피스레터 창간호(통권3호) ● 우리사회의 비전과 평화교육|이기범 ● 4.19를 넘어 통일로|정영철 ● 칸트의 영구평화론을 통해 본 한반도의 평화|정경화 ● 어떻게 평화를 이룰 수 있을까?|김동진 ● 욕 대장 종오가 질투를?|최관의 ● 압록강과 두만강은 열린 강이자 교류의 강|강주원 2017. 7. 26. 피스레터 창간준비2호(통권2호) ● 국민은 객체가 아니다|이호규 ● 전쟁 후 첫 만남|정영철 ● 인(仁): 사랑으로 일구는 화평한 사회를 꿈꾸었던 공자|정경화 ● 평화는 무엇일까?|김동진 ● 싫어! 싫어! 미진이랑 앉기 싫다고!|최관의 ● 한강하구의 역사와 현재 그리고 민낯|강주원 2017. 7. 26. 피스레터 창간준비1호(통권1호) ● 함께 만드는 평화|최혜경 ● 전쟁을 멈추고 평화를 기원하는 곳, 판문점|정영철 ● 플라톤이 말하는 전쟁의 기원|정경화 ● 평화학 공부와 실천|김동진 ● 욕 대장 종오 이야기|최관의 ● 또 하나의 휴전선, 북한식당|강주원 2017. 7. 26.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28 다음